올해부터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로 고인의 상조상품 가입 여부 조회 가능하다.

행정안전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은 2024년 12월 30일부터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와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를 통해 사망자의 상조상품 가입 내역을 포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무엇이 달라졌는가?
- 조회 범위 확대: 기존에는 은행에 선수금을 보전한 상조상품만 조회가 가능하였으나, 이번 조치로 공제조합에 보전된 상조상품도 포함된다.
- 신청 자격: 사망신고 후 상속인이 신청 가능하며, 사망신고 이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신청이 권장된다.
- 신청 경로: 사망신고 시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동시에 신청하거나, 정부24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관련 통계 알아보기
-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2015년 6월 서비스 개시 이래 2023년까지 약 150만 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 1999년 1월 서비스 실시 이후 2023년까지 약 225만명(누적)이 이용했다.
향후 계획
정부는 내년 말까지 ‘선불식 할부거래 분야 통합 정보제공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며, 해당 플랫폼에서도 상조상품 가입 여부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현실적인 장례준비
가장 큰 문제는 이 서비스가 사망 이후에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이미 장례를 치르고 난 이후 가입된 상조를 확인하고 후속 처리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합리적으로 장례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전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문가가 제안하는 현명한 장례 준비 방법
1. 장례식장을 미리 여러 곳 알아보기
- 장례식장에 들어가는 비용이 전체 비용의 50~70%를 차지합니다.
- 그렇기에 조문객 수 기준으로 적합한 빈소의 크기와 음식 비용을 미리 알아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황에 따라 원하시는 장례식장을 이용하시지 못하실 수 있기에 꼭 2~3 곳을 알아보기를 추천합니다.
2. 믿을 수 있는 상조회사 고르기
- 장례 발생 시 실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과 비용을 꼭 확인하세요.
- 해약환급금 규정은 어떻게 되는지 반드시 체크하세요
- 장례식장 자체로 장례를 진행할 때와 상조를 이용할 때의 가격을 비교해보세요.(생각보다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어요)
3. 장례 용품 선택 요령
- 품목별로 가격이 얼마인지 확인하세요. 동일한 품질의 품목을 더 합리적인 가격에 이용할 수도 있어요. (품목 예시: 관, 수의, 유골함 등)
- 상조 패키지 상품의 경우 불필요한 품목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시고 미사용 시 공제 여부도 확인하세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대비하려면
- 가족들과 함께 진행하고자 하는 장례식장, 모시고자 하는 장지(봉안당, 수목장)을 논의하시고 비용은 어느정도 발생할 지 미리 알아보세요
- 어느 것부터 준비해야할지 막막한 상황이라면 신뢰할 수 있는 장례 전문가(상조, 장례지도사, 장례식장)와 사전 상담을 꼭 진행해보세요
수많은 고객분들과 장례 상담을 진행해본 결과 온전히 고인의 추모에 집중할 수 있는 장례식은 잘 준비된 장례식이었습니다.
현재 고이장례연구소에서는 무료 장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