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사용료는 빈소, 접객실, 안치실 등의 공간을 임대하는 비용입니다. 일반적으로 대학병원 장례식장 사용료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전문 장례식장, 공설 장례식장의 순서로 사용료가 높습니다. 물론 예외가 있고, 전문 장례식장의 비용은 편차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가격은 맞춤형 장례 견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접객 음식 비용은 조문객을 위한 국, 반찬, 음료, 술, 일회용품 등으로 1인당 평균 비용은 2만원입니다. 조문객 수를 예상한 뒤, 이에 1인당 비용을 곱하면 대략적인 음식 비용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30~50인분 사이의 기본 상차림이 필수적이며, 음식이 부족할 때마다 추가 주문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고인을 위한 음식(= 제수 음식) 비용은 초물상, 성복제, 발인제, 상식 등으로 구성되며, 평균 비용은 21만원입니다. 음식 가격은 장례식장마다 조금씩 가격 차이가 있고, 음식의 선택지가 많기 때문에 현장에서 장례지도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단꽃은 영정(사진) 주위를 장식하는 꽃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상주 분들은 4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의 제단꽃을 결정 하시는데요, 대부분의 장례식장은 지정된 제단꽃 협력 업체가 있기 때문에 장례식장에서 제시하는 선택지 내에서만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영정사진과 상복 등 장례식에 필수적인 기타 물품들도 장례식장을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단 최근에는 상조 서비스 내에 영정사진과 상복을 제공해주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상조 회사와 상담시에 두 개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는지 꼭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