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 확인과 계약을 위해 꼭 필요한 3가지를 준비해주세요.
(1) 고인의 신분증
(2) 상주 본인의 신분증
(3) 고인의 사망을 증빙하는 서류(사망진단서, 사체검안서 또는 검시필증)
장례식장 내 빈소는 크기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조문객 수를 고려하여 알맞게 빈소를 선택해야 합리적인 비용으로 장례를 치르실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가족 분들이 사전에 조문객 수를 대략적으로 예상해보실 것을 추천드려요.
장례식장 계약 시 빈소 내의 접객실, 분향실 등의 크기만 보고 계약을 하시는 유족 분들이 종종 계신데요, 이에 더불어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할 공간이 또 있습니다. 그건 바로 유족 대기실인데요, 유족들의 휴식 공간인 유족 대기실은 접객실이나 분향소 만큼 중요한 장소입니다. 장례를 치를 때에는 심리적 고통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 끊임없는 접객 등으로 인한 육체적인 고통도 뒤따릅니다. 따라서 상 중에 잠시나마 편하게 쉴 수 있는 휴식 공간이 있는지 꼭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1) 추가 주문시 최소 주문 단위 (30인분 등)
(2) 음식 주문 마감 시간
(3) 음식 반입 가능 여부
(4) 음식 반출 가능 여부
장례식 이후엔 상속 절차를 반드시 거치게 되는데, 상속세를 납부할 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 14조에 따라 장례비용을 최대 1,5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중 상조 회사와 장례식장에 지출한 비용을 합쳐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금계산서 또는 현금영수증으로 지출 증빙 자료를 꼭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